당신에게 보내는 나의 초대장
이동미
# 에필로그: 어쩌다 자기소개
쓰면서 생각했다. 만우 시즌 2의 주제가 어쩌다 ‘자기소개서’가 됐을까? 자기소개서는 유능한 작가도 쉬이 쓰지 못하는 글제 아니던가. 타인에게 나의 무엇을 어떻게 소개해야 할까. 젊은 시절에는 열정이 넘치고 목표가 뚜렷하여 쓸 말도 많았지만 40대 아줌마에게 자기소개란 선뜻 내보이고 싶지 않은 주민등록증과 같다. 누군가의 아내이자 엄마, 고군분투하는 워킹맘이라는 뻔한 현실을 소개랍시고 하고 나면 ‘이게 진짜 나인가?’ 곱씹게 된다. 살짝 스쳤을 뿐인데 화들짝 놀라 몸을 움츠리는 달팽이처럼 이번 원고를 썼다. 쓰고 지우며 민망해하기를 수십 번, 덕분에 미간의 여덟 팔 자가 더욱 선명해졌다.
# 11살 소년의 자기소개법: 콜 미 바이 마이 러브
스카니아*. 얼마 전 비대면 화상 프로그램에 로그인 하자 화면에 낯익은 네 글자가 떴다. 가족 공용 계정이다 보니 그때그때마다 로그인 한 사람이 화면 사용자의 이름을 바꾸는데 스카니아라는 단어를 보는 순간 본능적으로 직감했다. 아, 이전 사용자가 아들이었구나!
* 스카니아 (Scania AB)는 스웨덴의 중공업 기업으로 주로 트럭, 버스, 산업용 디젤 엔진을 생산한다. 대형 트럭 분야에서 다임러 AG, 볼보그룹에 이어 세계 3위의 생산량을 자랑한다. -네이버 검색-
아들은 손에 무언가 잡을 수 있을 때부터 미니카를 유독 좋아했다. 그 중에서도 차체에 무언가 탑재할 수 있는 대형 트럭 라인만 고집했다. 별나다고 생각했지만 남자 아이라면 으레 그러리라 여겼다. 그런데 이 기호가 단 한 번도 바뀌지 않고 10년 동안 이어질 줄 누가 알았을까. 주변에 물어보니 보통 아드님들 취향은 자동차나 우주선, 전투기에서 변신로봇, 공룡, 팽이, 레고로 한 번씩 바뀐다는데 우리 집 아이는 요지부동이었다. 트럭을 향한 그의 일편단심은 지고지순했고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차를 타고 가다 지나가는 트럭의 전면 엠블럼이 아닌 운전석 옆 라인만 보고도 어느 제조사 트럭인지 맞추는 아이, 남편은 그것을 ‘사랑하면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들에게 스카니아는 단순한 트럭 이름이 아니었다. 진심으로 좋아하는 애정의 대상이자 또 다른 자기였다. 이름마저 그 사랑이 집약된 스카니아로 불리기 바라는 아들은 어쩌면 화면에 이름 석 자만 띄우는 엄마보다 자신을 더 잘 표현할 줄 아는 사람이 아닐까? 그날, 순수하고 용기있는 아들의 기록을 차마 수정할 수 없었던 엄마는 온라인 강의에서 ‘스카니아 님’으로 호명됐다.
# 자기소개: 나에게서 당신에게로 보내는 초대장
가볍게 생각하고 싶었다. 하지만 자기소개는 나에게 ‘자기소개서’로 더 강하게 각인되어있다. 사적으로 나누는 인사치레가 아닌 학업과 취업이라는 좁은 문을 통과하기 위해 인생의 마디 마디를 요약 정리해 완전 무장해야 했던 전쟁 같은 작업이었다. 무엇하나 허투로 건성으로 한 적 없는 나에게, 고군분투하며 살아온 지난 경험과 생각과 선택이 타인에 의해 평가 받는 일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었다. 합격과 불합격의 희비가 단두대처럼 기다리는 자기소개서의 결말, 나를 이야기하면서 괴롭고 무서웠다. 그리고 한없이 작아졌다. 하지만 써야했다. 꿈과 더 나은 내일을 위해서 도전하고 쟁취하고 싶었던 욕망이 있었으니까. 흡사 화려한 깃털 펼쳐 암컷을 유혹해 선택받길 바라는 수컷 공작처럼 우아한 척, 괜찮은 척, 자신 있는 척 써낸 가식의 문장들이 눈에 밟혔다. 자기소개서를 쓴 날이면 숨을 몰아쉬며 결과 발표시간까지 늘 가슴앓이를 했다.
자기소개라는 네 글자 사이에서 과거의 나를 본다. 대학 입시를 압둔 열아홉 살 고등학생, 스물네 살 취업준비생, 스물여섯 살 늦깎이 막내 작가, 서른이 넘어서 차곡차곡 쌓인 스펙으로 무장되어 가는 프리랜서. 그 때 써낸 문장들 위로 하나같이 바짝 긴장한 얼굴들이 떠오른다. 하지만 스쳐가는 얼굴들 너머 까맣게 잊고 있었던 또 다른 나의 모습이 겹쳐졌다.
자기소개를 쓰면서 좌절하고 자멸했던 마음을 일으켜 세운 것도 나였고 또 글쓰기였던 것이다. 싸이월드, 메모장, 그 당시 지인들과 나눴던 편지사이에서 나눈 문장들은 누구의 판단과 기대를 의식하지 않고 펼쳐낸 진짜 내 모습이었다. 찌질하고 어설프고 미련맞아 보여도, 그 끝에서 나는 즐거웠고 감사했고 안심했다는 것을 나는 글을 쓰면서 또 재발견하게 됐다.
나는 지금까지 써낸 수많은 자기소개서의 그 어떤 수신자들보다 더 냉혹하고 야박한 평가자였지 모른다. 늘 결과와 성과에 목을 매면서 살다보니 나도 모르게 가장 두려워하고 무서워하던 일을 자행해 버린지도. 이제는 그런 시선과 역할에서 놓이고 싶다. 누가 어떻게 나를 판단는지, 그 결과가 무엇이든지 간에 나를 거기에 옭아매고 싶지 않다. 오늘 하루의 일상을 사랑하고 충실하며 그 안에서의 마음 조각들을 글로서 이어가며 당신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내가 여기 있다. 나의 삶을 온 마음으로 전한다. 괜찮다면 지금, 당신을 내 삶으로 초대하고 싶다. 그리고 당신의 자기소개를 듣고 싶다. |